국립부경대학교 | 고분자·화학소재공학부 에너지화학소재공학전공

학과소개










설립배경

 우리나라의 산업구조가 기술 집약형 구조로 변화하는 추세에 따라 1984년 설치된 본 학과는 도료 제조 및 도장 공업과 표면처리에 관한 기초 이론을 확립하고, 실무에 필요한 지식을 교육했다. 이에 응용 기술을 연마하여 각종 중화학 분야인 가전, 자동차, 조선 및 제철 분야, 철 구조물인 산업 플랜트 분야 등의 공업 제품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하여 고급 표면처리를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400여명에 이르는 고급 전문 인력을 양성해 왔다. 1997년 부경대학교로 통합하면서 표면공학과로 학과명을 변경하여 첨단 신소재 분야로 전공분야를 확대하였고, 1999년에는 공업화학과로 학과명을 변경하여 정밀화학의 전 분야와 고기능 특수재료에까지 전공분야의 확대를 이루었으며, 2025년 에너지화학소재공학전공으로 거듭나며 학과의 전문성과 융합적 특성을 강조했다.




 

   


교육 목표와 방향

 


 국내 산업은 개방화 및 국제화 그리고 기술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으로 평가되는 시대에 선진국의 기술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기술과 창의적 능력을 겸비한 기술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기술혁신과 생활 수준의 향상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각종 화학 공업제품, 고분자 신소재, 정밀화학제품에 대해서 특수한 기능과 내구성, 그리고 환경 문제에 이르기까지 고급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화학소재공학전공은 유기화학 및 물리화학과 같은 기초과목에서부터 유기전자신소재, 반도체복합소재, 에너지소재, 전자에너지재료공학 등의 다양한 심화과목을 아우르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각종 정밀화학 제품과 더불어 전자, 자동차, 석유, 조선 분야에 적합한 중화학 제품 그리고 나아가서는 유기 태양전지 및 반도체 소재, 배터리소재, 자기조립 및 자가 치유 소재, 기능성 코팅 및 나노 제품에 이르는 첨단 신소재 분야에 적합한 인재 양성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본 학과는 향후 도래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수 있는 창의적이고 역량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다양한 산학협력 또는 융·복합 심화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